한국의 갯벌

한국의 갯벌개요

「한국의 갯벌」이 갖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 (Outstanding Universal Value)

지구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특히 멸종위기 철새의 중요기착지로서의 가치가 크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 등재기준 : (x) 생물다양성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지
  • 등재년도 : 2021.07.31.
  • 등재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신안군, 보성군, 순천시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개요

「한국의 갯벌」은 한반도 서남해안과 황해의 동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4개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연속유산이다. 유산지역은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년 수백만 마리의 이동성 물새가 이용한다. 「한국의 갯벌」은 물새들의 중요 기착지로서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이동성 물새는 밀집도가 높으며, 국제적으로 중요한 물새종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 일부는 전 세계적 멸종위기에 처한 EAAF 고유종으로 알려져있다. 「한국의 갯벌」은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 사이트를 비롯하여 중요생물다양성 지역(KBA), 중요 조류 지역(IBA), 생물권보전지역, 람사르 등록습지 등을 포괄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의 관리 및 추진 전담기구(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는 BirdLife International, 영국왕립조류협회, Wetland International, 와덴해 공동사무국, EAAFP 등과 같은 여러 국제기구와 교류활동을 맺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협 종 물새의 개체 수 보전에 노력하고 있다.

한반도 서남해안의 많은 지역주민들은 토착지식에 기초하여 해양 자원에 의존하며 삶을 영위하고 있다. 다만 현대에 들어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연안 습지의 일부가 매립되거나 변형되었다. 갯벌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2019년 제정된 갯벌법*은 훼손된 갯벌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구성요소 명 중심점 좌표 유산지역(㎢) 완충구역(㎢)
서천갯벌 36˚02´43.01˝N
126˚36´46.69˝E
68.09 36.57
고창갯벌 35˚32´56.54˝N
126˚32´59.75˝E
55.31 18.80
신안갯벌 34˚49´43.76˝N
126˚06´16.00˝E
1,100.86 672.54
보성·순천갯벌 34˚49´11.25˝N
127˚27´32.19˝E
59.85 18.01
합계(㎢) 1,284.11 745.92

주요 속성별 구성요소의 기여

구성요소별 특징 및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구성요소별 기여